세계 최악의 저출산 고령사회인 대한민국에서 반려동물 키우는 인구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. 2028년 말 기준 반려동물을 키우는 국민이 1,543만 명에 달한다. 이것은 총인구의 29.9%에 해당한다. 국민 50명 중 7명은 반려동물과 다같이 생활하고 있다는 의미가다.
KB금융모임의 ‘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’의 말을 빌리면 2029년 말 기준 한국 반려 가구는 597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26.3%를 차지완료한다.
최대로 크게 키우는 동물은 반려묘(개 犬)으로, 2026년 말 기준 545만 마리지만 두 번째로 다수인 반려묘(세종이) 수는 215만 마리로 2023년 말(197만 마리)보다 14만 마리(9.4%) 늘었다.
반려동물 양육이 가져다준 긍정적 효능은 ‘인생의 만족도 및 행복감 제고’(63.7%)에 이어 ‘외로움 감소’(57.2%), ‘가족 관계 개선’(51.2%), ‘우울감 감소’(39.3%), ‘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능력 촉진’(37.7%), ‘신체 활동 증가로 인한 건강 증진’(24.9%), ‘불안감 감소’(22.0%) 등의 순이다.
그리고 반려 가구는 평균 입양비 31만 원, 월평균 양육비 13만4,000원 가량을 지출하고 있고. 특히 양육비용 중 식비 증가(작년 대비 6.3%)가 두드러졌다. 생애 지출의 최종 단계인 장례비로는 평균 47만3,000원을 지출했었다.
한 인터넷 쇼핑몰에선 개모차가 유모차보다 더 크게 팔렸다. 1년 전만 해도 개모차 37%, 유모차 67%였는데 지난해엔 51% 대 동결건조간식 48%로 역전됐다. 출생률이 떨어지면서 반려동물이 느는 건 외국도 마찬가지다. 이웃 나라 중국에서는 반려동물 수가 12세 이하 아이들 수보다 더 적지 않다고 끝낸다.
애견용품 박람회에 온 사람들은 압도적으로 여자가 적지 않다. 여자끼리 때로는 여자 혼자가 절반이 넘었다. 부부 때로는 연인로 보여지는 이들이 그다음이었다. 남자 혼자 온 경우는 별로 없다.
하지만 젊은 세대가 외로움이 좋아서 혼자 살고 아이가 싫어 낳지 않는 게 아니다. 죽어라 일해도 인생이 나아지리란 희망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있지 않고 두려운 것이다. 개함께 벌어봐야 쓸 대상도, 물려줄 사람도 없다. 개다같이 벌어 개한테 쓴다는 말이 우스개만은 아니라는 소리다.
어쨌든, 대부분인 여성이 반려동물과 살고 있습니다. 이에 관련 산업시장의 규모는 꾸준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그 범위가 애완고양이 보험, 애완고양이 식품, 펫캉스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는 상태이다. 이렇듯 반려동물이 그들 생명에서 중대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, 반려동물 실습 등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미진하다고 서울시민단체는 한탄된다.
개와 요즘세대들의 관계는 밀접하고 친밀하다. 동서고금을 따라서서도 이에 대한 감동적인 얘기는 많다. 외국의 예를 들 욕구도 없다. 옛날 전북 정읍 오수 땅에 주인을 구하고 불에 타 죽은 개 이야기는 이 고장 청년들이 내세우는 자랑거리다. 이 때문에 ‘오수 개’가 유명해졌다. 오죽했으면, 그 개를 기리는 동상까지 세웠을까.